N잡 특공대의 청춘 마케터입니다.
어제 11시경 포스팅이 13개를 넘어가고 있어 구글 애드센스 신청을 했습니다.
5번째 애드센스 신청의 승인결과가 궁금합니다. 지금까지는 가장 빠른 승인은 15 포스팅 1일 만에 승인, 가장 느린 승인 결과는 10 포스팅 9일 만에 승인된 결과였는데요, 이번에 승인되는 결과를 보면 대략적인 애드 센스 승인을 위한 포스팅 수와 승인에 걸리는 시간 등 어느 정도 데이터가 보일 거 같습니다.
오늘 포스팅 제목을 보시면 크롤링을 위한 ROBOTS.TXT 등록방법이라고 적혀있습니다.
다른 여러 블로그의 포스팅에서 잘 설명해주고 있지만. 이전 포스팅에서 말씀드렸듯이 기초는 아무리 강조해도 중요할 만큼 튼튼하게 잡고 가야 하니 크롤링의 기본개념과 ROBOTS.TXT의 단순한 등록법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기능과 각종 검색 로봇의 제어 허용 방법을 포스팅해보겠습니다.
크롤링 이란?
소프트웨어 따위가 웹을 돌아다니며 유용한 정보를 찾아 특정 데이터베이스로 수집해 오는 작업. 또는 그러한 기술.
사전적 의미는 위와 같습니다. 쉬운 이해를 돕기 위해서 자동차(사용자)가 길을 찾기 위해, 내비게이션에 정보를 입력하게 되는데 그때 점포나 관광지 등 찾고 싶은 목적지(블로그)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작성하게 되는 행위를 크롤링이라고 합니다.
그때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사람의 역할을 온라인에서는 소프트웨어 즉 각종 사이트의 봇(BOT)들이 수행하게 되는데 이를 크롤러라고 합니다.
ROBOTS.TXT 등록 방법
robots.txt 등록방법은 마이크로 소프트웨어의 빙 웹마스터 도구를 통해서도 가능하고, 또는 직접 txt 파일을 제작하여 업로드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하지만 가장 간단하고, 초보자들도 쉽게 할 수 있게 그리고 앞의 포스팅을 보셨다면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에 검색 등록절차를 모두 진행하셨을 거라고보고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의 기능을 활용하여 robots.txt 등록을 하는 방법을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 먼저 서치 어드바이저 로그인을 하고 아래 화면과 같이 메뉴의 검증 탭robots.txt을 클릭합니다.
- robots.txt 클릭 후 나오는 화면에서 가장 아랫부분 robots.txt 간단 생성으로 가셔서 모든 검색로봇/수집을 허용합니다를 선택합니다.
- 다운로드를 클릭하여 파일을 알기 쉬운 위치에 저장합니다.
- 위와 같이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를 통해 robots.txt 파일을 생성하셨다면 블로그에 파일을 업로드해야 합니다.
- 본인 블로그의 관리 화면의 스킨 편집 > html 편집 > 파일 업로드를 클릭합니다.
- 아래쪽 추가 버튼을 클릭하셔서 본인이 다운로드한 robot.txt 파일을 선택하시고 업로드합니다.
- 루트 디렉터리(보이시는 화면)에 robot.txt 파일이 업로드되어 보이신다면 완료된 것입니다.
이제 robots.txt 파일이 수정되어 모든 검색 봇들이 블로그에서 본인의 자료를 수집해갈수 있고, 검색이 허용되었습니다.
여기가지 오셨다면 가장 기본적인 블로그의 글을 작성할 준비가 모두 다 된 것입니다.
물론 글만 쓴다고 해서 내가 작성한 글들이 모든 사람들이 볼 수 있게 여러 사이트에서 바로 노출을 시켜주지는 않습니다. 검색 플랫폼들의 상단에 노출될수록. 나의 글을 읽게 되는 사용자들이 검색을 통하여 빠르게 글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상단 노출이라는 것이 쉽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블로그를 검색 등록했다고 해서 모든 글들이 검색이 되게 등록되는 것이 아닙니다. 다음 포스팅으로 블로그를 시작하는 첫 글을 쓰는 작은 TIP과 본인이 작성한 글을 다양한 플랫폼에서 색인 등록(검색이 되도록 등록) 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다른 여러 가지 정보들이 필요하시거나 추가로 질문이 필요하신 분들은 아래의 카카오 뷰 채널을 추가하셔서 1:1 질문하기 기능을 이용하셔서 질문하신다면 가능한 시간에는 답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블로그 > 카카오 TI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블로그 개설후 구글 애드센스 승인까지. (1) | 2022.07.14 |
---|---|
발행된 글 네이버, 구글, 빙, 줌 색인 등록하기 (1) | 2022.07.12 |
네이버, 구글, 빙, 줌 등 사이트 소유확인과 검색 등록하기-2 (0) | 2022.07.10 |
네이버, 구글, 빙, 줌 등 사이트 소유확인과 검색 등록하기-1(구글) (0) | 2022.07.08 |
카테고리의 중요성, 카테고리 만들기 (0) | 2022.07.04 |
댓글